4th IKAP Winners
Mirror of Opilia
강 로사
116 x 91 cm
Mixed media on korean paper
중세 거울은 비추는 기능 이상으로 그 자체의 존재감을 과시해야 하는 가구였습니다. 사용하지 않을 때는 마치 벽에 걸린 부조로서 집안을 장식하는 구실을 하곤 했습니다. 화려한 거울일수록 귀족의 전유물이었기 때문입니다.
저는 이를 현대의 SNS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생각합니다. 현대인들은 겉을 꾸미고 과시하기 바쁜 것 같습니다. 그게 나쁘다는 것이 아니라 마음이 비어있는 것이, 거울처럼 순식간에 깨질 수 있는 것처럼 얇은 유리 조각 같습니다. 작품 속 화려한 거울도 순간 깨져버릴 수 있는 것처럼, 그 거울에 비친 우리의 모습도 속은 텅 비어 있지는 않을까요.
Medieval mirrors were pieces of furniture that had to show off their own presence beyond their reflective function. When not in use, they would serve as wall decorations, like reliefs. The more extravagant the mirror, the more it was exclusive to the nobility.
I think it plays a role similar to modern SNS. Modern people seem to be busy decorating and showing off their appearance. It’s not that that’s bad, but their hearts are empty, like thin pieces of glass that can shatter in an instant like a mirror. Just as the gorgeous mirrors in artwork can shatter in an instant, isn’t it true that our reflections in those mirrors are also empty on the inside?
칠죄종을 현대적으로 작가의 이야기와 섞은 세븐 헤빌즈,
그 첫 번째 이야기 음욕의 죄
나의 인생에서 첫 번째 죄악은 음욕이었던 것 같다. 이것은 내가 변태라는 말이 아닌 사랑을 착각해 사랑받고 싶어서 이상한 것에 집착하느라 정작 진짜 사랑은 뭔지 생각조차 해보지 않았던 나의 어리석음에 대하여 말한다.
Seven Hevils, a modern mix of the Seven Deadly Sins and the author's story, The first story, Luxuria
I think the first sin in my life was Luxuria. This is not about me being a pervert, but about my foolishness in not even thinking about what real love was because I was obsessed with strange things in the hope of being loved.
Seven Hevils:Luxuria
조 경민
90/9 x 72.7 cm
Mixed media on canvas
Mirror of Opilia
고 현주
72.7 x 105 cm
Mixed media on canvas & paper
'Comfortable'은 깊고 어두운 터널을 지나며 그곳에서 만나게 된 소망의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빛이란 존재를 꿈꿀 수 없었던, 깊은 어둠 속에서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어려운 숙제를 푸는 것 같은 시간이 만날 때가 있습니다.
아직 눈에 보이지 않고 멀리 있는 것 같은 빛을 향해 발버둥 치다가 끝내 발견해 낸 일상의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함께 하는 존재와 살아가며 만나는 모든 것이 주는 온기가 내 안에 들어와 빛이 되고 낯선 두려움을 직면하는 용기가 됨을 고백합니다.
작품 ‘Comfortable’은 사랑의 힘으로 알게 된 평안을 담은 작품입니다. 중앙에 패널은 가장 처음 작업 되었고, 이후에 양쪽 각각 날개 패널을 완성하며 전체적으로 나의 고백을 담은 그릇을 형태로 작업하였습니다. 포기하지 않고 바라봐 주는 힘에 기초가 평안이 되어 주고 나의 모든 것을 담아 낼 그릇이 됩니다.
'Comfortable' is a story of hope encountered while passing through a deep and dark tunnel. There are times when I feel like I am solving a difficult homework assignment that I cannot understand in the deep darkness where I could not even dream of the existence of light.
I confess that the warmth of everything I encounter while living with the existence of everyday love that I found after struggling toward the light that is still invisible and seems far away enters me and becomes light and courage to face unfamiliar fears.
'Comfortable' is an artwork containing peace learned through the power of love. The central panel was the first to be worked on, and later, the wing panels on each side were completed, creating a vessel containing my confession as a whole. The foundation of the power that looks on without giving up becomes peace and becomes a vessel that contains everything about me.
Special Recognition
MUTHUL
강 훈
112.1 x 145.5 cm
Acrylic on canvas
마음의 빛
문 해진
162.5 x 130.3 cm
Mixed media on canvas
Honorable Mention
Ocean Vegabond Jameson
남 기백
60.6 x 60.6 cm
Acrylic on wooden board
ILBC0304
김 기석
29.7 x 21 cm
Pigment print on paper
Party
현 정표
72.7 x 60.6 cm
Digital Art